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주팔자60

일주론 해석 - 己卯 (기묘) 일주 들판의 토끼의 象인 기묘일생은 남달리 예민하여 또 자상하고 꼼꼼한 면모가 있지만 타인과 융화하기 힘든 면이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일견 약한듯하지만 끈질기고 괴팍한 면이 있습니다. 일간이 관성을 바닥에 깔았고 관성이 록왕에 좌하므로 명석하고 안하무인의 기질이 있으나 평상시 독보적인 성향을 잘 드러내진 않습니다. 기토 곡각/묘목현침이 겹친데다 병지(역마살)에 놓여 자신과 가족이 질병에 시달리거나 환자의 물상으로 나타날 때가 많습니다 (배우자가 의약업 계통이면 물상대체) 항상 타인을 위해 적덕을 쌓아야만 신액을 면한다고 했습니다. 일간이 병지(역마살)에 놓였고 관살혼잡이면서 관살이 록왕에 좌하고 일간기토가 관성과 甲己合(암합)한다. 남명의 경우 자식인 관성은 상대적으로 활기를 띄지만 병지(역마살)에 놓인 이.. 2022. 5. 20.
일주론 해석 – 己亥 (기해) 일주 기토일간이 육친으로 정재의 글자이자, 십이운성으론 태지에 좌한 일주가 기해가 됩니다. 동시에 정재는 록지에 해당하니 이 사람은 평생 기본적인 재복이 따르게 됩니다. 또한, 부친(편재는 왕지)과의 인연도 두터운 편입니다. 여기에 해수에서는 갑목이 장생을 하는데 이는 정관 장생지가 되어 사상이 건전하고 의관이 단정함을 나타냅니다.(정관은 타의 모범이 되는 성분입니다.) 하지만 형제성인 무토 겁재는 절지가 되므로 형제는 무력한 양상입니다. 더하여 흙이 물에 잠기는 형상이라 겉은 명랑해도 속으로는 수심이 있고 토(위장)가 물에 쓸리니 비위가 약하게 됩니다. 또 지장간을 보면 갑목이 일간 기토와 암합을 하고 있는 구조로 일간이 처의 글자 속에서 자식과 합을 하니 다정하고 인정이 많은 편입니다. 해수 역마는 바다를.. 2022. 5. 19.
일주론 해석 - 戊戌 (무술)일주 무술일생은 비견입묘로 괴강에 과살이 놓였습니다. 정화의 인수 화개에 양지로 무리 중에 뛰어난 총명성을 갖추었습니다. 또 상관 신금이 대지라 종교성과 매우 유관 합니다. 이 사람은 신의가 있고 신망이 두터우며 태산의 물상으로 높은 차원을 생각합니다. 그래서 속세를 탈피하려는 성향이 강합니다. 행동이나 마음의 시비가 분명한데 상관 월살은 반음설기의 상으로 간섭이나 참견하는 잔소리가 많습니다. 신금의 상관은 일종의 노기를 뜻하여 한번 화가 나면 아주 무섭습니다. 과살은 창의 글자가 겹치는 상의에서 비롯된 것으로 크게 다치거나 수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을 살려야만 액을 면하는 것입니다. 물상대체가 바로 이런 개념이지요. 양토의 비화는 자만심과 독선적인 경향으로 나타나기 쉬운 반면 천한 사람들과도 잘.. 2022. 5. 19.
일주론 해석 - 戊午 (무오)일주 무오일생은 무토 일원이 제왕에 놓입니다. 기토 비겁은 왕궁 건록에 좌합니다. 경금 식상은 왕궁 욕지로 종합니다. 임수 재신은 왕궁 태지로 종합니다. 관록 갑목은 왕궁 사지로 종합니다. 인수 병정은 왕궁 록왕에 좌합니다. 인비로 구성된 일인, 무오일생은 완고한 성정으로 특유의 저돌성을 드러냅니다. 인수가 왕하여 모친과의 인연이 강하고 여타의 육친과는 떨어져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견은 중정한 군자의 상이지만 앉은 자리가 뜨거워 불안정한 기운이 있으므로 더러 타인과 불화할 때가 있습니다. 자기 사업을 하고 지도자의 길을 가는 게 어울립니다. 보통 학업에 충실하고 매사에 꼼꼼하며 글씨나 그림에 소질을 보이기도 합니다. 일점 수기가 없지만 재성 수기를 암합하여 끌어오는 힘이 있습니다. 그래서 축재와 손재가 .. 2022. 5.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