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1 일주론 해석 - 丁未 (정미) 일주 정미일생은 식신/관대(월살)으로 비견과 식신이 또한 관대(월살)에 듭니다. 명랑한 성격에 달변이고 고집은 꺽을 자가 없을 정도입니다. 인비식의 精神氣 삼자를 다 갖추어 이 사람은 도량이 넓고 베푸는 기질이 있습니다. 어려움을 당해도 밝게 잘 견뎌내는 힘이 있습니다 팔자에 水氣를 잘 갖추어야 복명이 됩니다. 수기가 없으면 절제가 되지 않습니다. 현침의 자형은 기예 방면의 소질을 암시하고 또 종교성을 품습니다. 丁未의 물상이 사찰, 성당, 제단의 불을 암시한다, 속설에 무오일생과 정미일생은 정력이 절륜하여 이성관계가 복잡한 것은 도리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래서 부부궁이 건전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우세합니다. 식신 관대로 소유욕이 강하고 독립심이 있으며 추진력이 있습니다. 조열한 기세로 간혹 쉽게 흥분하고.. 2022. 5. 19. 일주론 해석 - 丁卯 (정묘) 일주 인수가 병지인 정묘일생은 중년 이후에도 변함없는 학구열을 암시합니다. 문곡으로 배움을 위한 먼길을 마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배우자의 병환이나 이별 둘 중 하나의 상황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진로는 기대이상으로 잘 열리지 않습니다. 임수 관성이 사지에 놓이므로 추진력이나 활동력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일단 묘목에 재성은 재살로 인종되고 인수는 왕지에 좌합니다. 남자는 고부갈등을 피할 도리가 없습니다. 36금수에 묘목은 고슴도치에 비유되듯 배우자와는 사이가 멀어지는 딜레마가 있습니다. 배우자궁에 묘파성이 들면 좀체 부부 사이의 화락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보통 인수의 성분이 혼잡하면 인정이 많아 잘 베풀면서도 이해타산이 분명한 경향이 있습니다. 여성은 자존심이 강합니다. 이것은 인수의 .. 2022. 5. 19. 일주론 해석 - 丁亥 (정해) 일주 보통 정해일생은 두뇌가 명석하고, 직감으로 느끼는 힘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천문 해수에 좌한 인수 갑목과 상관 무토가 작용하는 까닭이죠. 다만 상관은 절지로 인수에 비해 유력하지 않습니다. 주작은 말을 잘해도 표현이 썩 세련되지 않다는 얘깁니다. 이 사람은 외향이 맑고 건전하나 속으로는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부족한 마음을 가질 때가 더러 있습니다. 임수 정관이 록을 얻고 일원을 암합하여 제어하는 힘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해수 재살은 묘목 역마와 합작하는데 곧잘 고향 떠나 객지 생활하고, 생활환경이 분주한 유형이 많습니다. 재신 경금이 해에서 병지로 인종되기에 정해일생은 움직일수록 먹을게 많습니다. 배우자는 대개 본인보다 학식이 높고, 귀인으로 후덕할 인연이기 쉽습니다. 혹 서로 아무도 모르게 이성의 .. 2022. 5. 19. 일주론 해석 - 丙戌 (병술) 일주 병술일생은 일지에 화고를 놓았습니다. 일단 겉은 화려한 호걸풍이지만 일신에 쓸쓸함이 따릅니다. 감정의 기복이나 변덕스러운 성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주위의 좋은 인연을 멀리하고, 고독한 운명의 길을 지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락서산의 물상이 그러합니다. 수행을 통해 내면을 다지고 학문이나 예술 방면에 취미를 붙입니다. 분명 종교적인 경향이 있지요. 또 풍류도 즐깁니다. 술예성이 그런겁니다. 재관 공히 관대에 좌하거나 인종되면서 묘지에 속합니다. 월살과 화개를 겸간하면 떠오르는 물상이 환자의 상이니까 배우자의 신상에 횡액을 염려할 만한 요소가 됩니다. 정화 겁재는 양지에 좌하면서 또한 입고됩니다. 이 사람은 집념이 강하고 무슨 일이든 빨리 해치워야 직성이 풀립니다. 하지만 식신이 입고라 장애가 있습.. 2022. 5. 1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