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1 일주론 해석 - 戊午 (무오)일주 무오일생은 무토 일원이 제왕에 놓입니다. 기토 비겁은 왕궁 건록에 좌합니다. 경금 식상은 왕궁 욕지로 종합니다. 임수 재신은 왕궁 태지로 종합니다. 관록 갑목은 왕궁 사지로 종합니다. 인수 병정은 왕궁 록왕에 좌합니다. 인비로 구성된 일인, 무오일생은 완고한 성정으로 특유의 저돌성을 드러냅니다. 인수가 왕하여 모친과의 인연이 강하고 여타의 육친과는 떨어져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견은 중정한 군자의 상이지만 앉은 자리가 뜨거워 불안정한 기운이 있으므로 더러 타인과 불화할 때가 있습니다. 자기 사업을 하고 지도자의 길을 가는 게 어울립니다. 보통 학업에 충실하고 매사에 꼼꼼하며 글씨나 그림에 소질을 보이기도 합니다. 일점 수기가 없지만 재성 수기를 암합하여 끌어오는 힘이 있습니다. 그래서 축재와 손재가 .. 2022. 5. 19. 일주론 해석 - 戊寅 (무인) 일주 무인일생은 일원과 인수가 장생을 얻은 겁니다. 원론적으로 학문을 즐겨하고 문장이 수려하며 학자나 교육자로 진로를 정하면 길할 게 분명합니다. 무엇보다도 귀인의 조력과 든든한 후원이 따르므로 인덕이 있습니다. 비견 또한 생궁에 놓인 까닭에 활동적이며, 자신의 힘을 믿고 과시하는 경향도 나타납니다. 반면 갑목의 칠살 또한 세력을 왕성하게 얻는 형국입니다. 남명은 출중한 많은 자식을 보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렇게 살인상생이 생궁에 놓이면 관록도 발하고 만인의 두령이 되어 지도하려는 야심을 갖게 됩니다. 또 대체로 신상에 변동, 변화가 심한 편으로 신금 역마의 충운에는 외국에 출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재성 임수 또한 병지에 놓입니다. 그래서 무인일생은 분주할수록 먹을 게 많은 법입니다. 한편 용맹스러운.. 2022. 5. 19. 일주론 해석 - 戊辰 (무진) 일주 무진일생은 관대의 물상인데 을목 관성 또한 관대에 속하여 종교성의 업상과 몹시 유관합니다. 다만 재고를 깔고 앉아 재물에 대한 실리와 집착을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또 이점은 모친에 비해 부친과의 인연이 박함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특히 진중의 계수는 무토와 암합하여 간여지동의 유형 가운데서도 부부와의 화합이나 손재, 배신 등의 흉조를 피해 갈 수 없습니다. 입고설을 염두에 둔다면 기문의 구성에서 연유된 백호는 굳이 팔자명리에서 거론할 필요가 없는데 무진의 중궁은 양간의 비견이 재를 탈취하는 양상에서 부부궁의 불리함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 사람은 주체관념과 인내심이 강하며 성실함과 신용을 보증하는 유형에 속하지만 무진은 태산 아래 진흙과 같은 물형으로 근심과 비밀, 원망의 기운이 서려 때때로 금심과 비.. 2022. 5. 19. 일주론 해석 - 戊子 (무자) 일주 무자일생은 위인이 총명하고 재복이 있습니다. 무계의 암합이 포인트로 암암리에 발생하는 화기가 인수로 작용하고, 또 록지에 좌한 재신과의 천지합덕이 재운을 부르는 요소가 됩니다. 거부는 어렵고 탈재는 또 탈재도 빈번히 일어나지만, 재복이 좋아 지갑이 비는 일은 없습니다. 따라서 명운에 자수를 타격하는 오화의 글자를 몹시 두려워하는 일면이 있습니다. 보통 일지의 장간과 일원이 암합하는 구조를 보이면 심성이 착하고 다정한 면모가 드러납니다. 인수는 다만 허신으로 작동할 뿐 자수에 인종하면 태지가 겹치는 상에 불가합니다. 그래서 모선망에 모정을 애타게 그리는 고독감이 있습니다. 남자는 나름의 고집은 있으나 박력이 없습니다. 겁재 양인이 절지로 인종되는 까닭으로 대업의 성취는 힘들다고 보는 겁니다. 반면 이 사람.. 2022. 5. 19.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3 다음 반응형